티스토리 뷰
실업급여는 일시적인 실직 상태에서 경제적인 안정을 제공하는 중요한 지원 제도입니다. 하지만 자발적으로 퇴사한 경우에는 실업급여를 받기 어렵다는 오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이번 블로그에서는 자발적 퇴사 상태에서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8가지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각 상황에 맞는 증빙서류와 신청 방법에 대해서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실업급여 받기 위한 기본조건
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본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 이 조건들은 자발적 퇴사와 무관하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 기본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회사가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.
- 최근 18개월 동안 근무한 기간이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. (휴무를 제외한 실제 근무한 날 수를 기준으로 합니다.)
- 퇴직 후 12개월 이내에 실업급여를 신청해야 합니다.
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받는 방법 8가지
1. 초과근무 등 회사가 근로기준법을 위반했을 경우
- 이직 전 1년 이내 근로기준법이 정한 근무시간 52시간을 2개월 이상 초과한 경우
- 증빙서류: 출퇴근 시간 내역 등
2. 출퇴근 시간이 왕복 3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
- 회사 이전이나 발령으로 인하여 출퇴근 시간이 왕복 3시간 이상 소요되고, 자발적 퇴사한 경우
- 증빙서류: 지도 어플을 기준으로 한 왕복 출퇴근 시간 증명
3. 근로자 본인의 질병으로 인한 퇴사
- 본인의 질병으로 인해 업무수행이 어려워 퇴사한 경우
- 증빙서류: 의사소견서 등
4. 부양가족의 간병이 필요한 경우
- 부양가족의 질병으로 인해 퇴사한 경우
- 증빙서류: 가족관계증명서, 의사소견서 등
5. 육아를 위한 퇴사 시
- 2학년 이하 자녀의 육아를 위해 회사가 휴직을 허락하지 않은 경우
- 증빙서류: 어린이집 입학 불가능 확인서 등
6. 이직 전 1년 이내 임금체불이 2개월 이상 있는 경우
- 이직 전 1년 이내에 임금체불이 2회 이상 있었던 경우
- 증빙서류: 임금체불 사실 확인서 등
7. 직장 내 괴롭힘, 성희롱 등의 사유로 퇴사한 경우
- 직장 내 괴롭힘, 성희롱 등으로 인해 퇴사한 경우
- 증빙서류: 증거 자료들
8. 입사 시 근무조건과 다를 경우
- 약속된 근무조건과 다른 이유로 퇴사한 경우
- 증빙서류: 근로계약서, 근무시간 증명 등
사업주가 퇴직사유를 거짓으로 기재하는 경우
- 사업주가 퇴직사유를 거짓으로 기재하면 최대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- 실업급여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실업급여 신청을 꺼릴 경우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를 통해 민원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.
자발적으로 퇴사한 경우에도 위와 같은 상황에 해당한다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각 상황에 따른 적절한 증빙서류를 첨부하여 신청하면 경제적인 어려움을 덜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법적인 조언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, 본인의 상황에 맞는 신청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이상으로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를 받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. 실업급여를 효율적으로 받아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영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.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하노이혼자여행
- 비보쇼2024후기
- 하노이트레블월넷
- 2024비보쇼
- 호안끼엠트레블월넷
- 발리할인
- 비보쇼후기
- 하노이기차길
- 하노이여행
- 발리여행
- 사파
- 비보쇼오리지날2024
- 하노이
- 트레블월넷출금
- 비보쇼오리지날
- 발리항공권할인
- 베트남사파
- 비보쇼2024
- 발리항공권 할인
- 세부여행
- 사파여행
- 강인권감독
- 기아타이거즈
- 김호중
- 박건우1군엔트리말소
- 신인드래프트
- 트랄랄라 브라더스 시청률
- NC다이노스
- 김호중콘서트
- 비보쇼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